카테고리 없음

헤겔의 변증법을 적용한 인스타그램의 nofilter 현상 설명

Saltycrocodile 2025. 2. 2. 14:57

 

1. nofilter와 필터링된 현실

  • 인스타그램에서 필터를 적용하지 않은 사진을 nofilter라고 표현하는데, 이는 필터링이 된 사진이 "기준"이 되는 현실이라는 걸 의미해.
  • 즉, 우리가 SNS에서 보는 대부분의 사진이 필터를 거친 것이기 때문에, 필터가 없는 사진은 오히려 "특별한 것"으로 인식된다는 거지.
  • 이런 관점에서 보면, 현대 사회에서 우리가 접하는 "현실"은 필터를 거친 현실이며, 날것 그대로의 현실은 기준이 아니라 예외가 되어버린 셈이야.

2. 실재(reality)와 가상의 관계

  • "실재의 현실은 오직 가상에 대한 안티테제로 존재한다"는 말은, 현실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가상의 현실(즉, 필터링된 현실)과의 대조 속에서만 의미를 가진다는 뜻이야.
  • 쉽게 말해, 우리가 "이것이 현실이다"라고 말할 수 있는 이유는 그것이 가상이 아니라는 점에서 정의되기 때문이라는 거지.

3. 헤겔의 변증법을 적용한 설명

  • 헤겔의 변증법에서는 사물이나 개념이 세 단계로 발전한다고 봐:
    1. 즉자(卽自, an sich, in-itself): 스스로 존재하는 상태 (아직 대립을 인식하지 못함)
    2. 대자(對自, für sich, for-itself): 대립 속에서 자기 자신을 인식하는 상태
    3. 즉자대자(卽自對自, an und für sich, in-and-for-itself): 대립을 극복하고 새로운 통합을 이루는 상태
  • 여기서 말하는 "실재의 현실은 즉자적 현실이 아니다"라는 것은, 현실이 스스로 존재하는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는 뜻이야.
  • 오히려 "필터 없는(nofilter) 현실"은 "필터링된 현실"과 대비될 때만 의미를 가지므로, 대자적 현실, 즉 관계 속에서 정의되는 현실이라는 거지.

4. 결론: 현실은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다

  • 결국 이 문장은 "현실이란 절대적이고 고정된 것이 아니라, 가상의 현실과의 관계 속에서만 정의된다"고 말하고 있어.
  • 즉, 우리가 현실이라고 믿는 것은 점점 더 필터링되고, 가공되고, 미디어를 통해 구성된 것이며, 날것 그대로의 현실은 점점 더 예외적인 것이 되어간다는 의미야.

이런 철학적 시각은 현대 사회에서 VR, AR, SNS 등이 우리의 현실 인식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