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저민 그레이엄의 보통주 평가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
그레이엄은 이런 전통적인 가치평가 방법을 더 구체화하고 체계화하여 《증권분석》에 망라했다. 예컨대 그는 보통주 평가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로 미래 예상 배당금, 미래 예상 이익, 배당금과 이익에 적용하는 자본 환원율(승수), 자산 가치 등 네 가지를 꼽았다. 그리고 이 요소들을 결합하여 다음과 같은 보통주 평가 공식을 제시했다.
● 가치 = M(배당금+이익/3) + 자산가치 조정
벤저민 그레이엄(Benjamin Graham)이 보통주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을 공식으로 표현한 것이다. 여기서 핵심 개념과 계산공식을 살펴볼자
1. 그레이엄의 보통주 평가 요소
그레이엄은 보통주의 가치를 평가할 때 다음 네 가지 요소를 고려했다:
- 미래 예상 배당금 – 기업이 앞으로 지급할 배당금
- 미래 예상 이익 – 기업이 앞으로 벌어들일 이익
- 자본 환원율(승수) – 배당금과 이익에 적용하는 할인율(즉, 미래 현금흐름을 현재가치로 변환하는 비율)
- 자산 가치 – 기업의 장부상 자산 가치
이 네 가지 요소를 결합해서 보통주의 가치를 계산하는 공식을 제시했는데, 그게 바로 아래 식이다
2. 그레이엄의 보통주 평가 공식
이 공식이 의미하는 바
- M : 그레이엄이 적용한 승수(multiple), 즉 자본 환원율을 의미. 이 값은 시장 상황이나 산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배당금 + 이익) / 3 : 미래 배당금과 이익을 합친 후 3으로 나눠서 보수적인 평가를 함.
- 자산가치 조정 : 장부상의 자산가치를 반영하는 보정값.
이 공식을 통해 기업의 내재 가치를 대략적으로 계산할 수 있지만, 그레이엄은 이 평가 과정이 완벽할 수 없다고 봤어. 그래서 '안전마진(Margin of Safety)' 개념을 도입했다.
3. 안전마진(Margin of Safety)의 중요성
그레이엄은 기업의 미래 이익을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 어렵다고 생각했어. 따라서 특정한 숫자가 아니라 가치의 범위(Range) 로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했지.
✔ 안전마진 개념
- 적정 가치보다 충분히 저렴한 가격에서만 매수해야 함.
- 예를 들어, 계산된 기업 가치가 100억 원이라 해도, 불확실성을 고려해 70억 원 이하일 때만 투자하는 방식.
- 이를 통해 예상과 다르게 흘러가더라도 손실을 줄이고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음.
4. 정리하면
그레이엄의 공식은 보수적인 가치 평가를 위한 도구이며, 이익과 배당금을 반영하면서도 자산 가치를 고려해 종합적인 주가 가치를 산출하려는 접근 방식이야. 하지만 이 공식 하나만으로 정확한 가치를 판단하는 건 어렵기 때문에 안전마진을 확보하는 것이 더 중요 하다는 게 그의 핵심 철학이야.
이해가 좀 더 명확해졌어? 🤔
5. 적용해보기
그레이엄의 보통주 평가 공식을 실제로 적용해 보자.
1. 가상의 기업 예제
가상의 기업 "Alpha Corp"의 재무정보가 다음과 같다고 가정해보자.
- 주당 배당금 = 2,000원
- 주당 이익(EPS) = 6,000원
- 자산가치 조정 = 15,000원
- 승수(M) = 10
📌 공식 적용
✔ 결론
그레이엄의 가치 평가 방식에 따르면, "Alpha Corp"의 적정 가치는 41,667원으로 계산됨.
이 기업의 실제 주가가 35,000원이라면? 저평가되어 있으므로 투자 고려 가능!
반대로 50,000원이라면? 과대평가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음.
2. 실제 기업 예제: 삼성전자 (005930.KQ) 적용
삼성전자의 최근 재무 데이터를 사용해 보자. (예시 데이터, 실제 값과 다를 수 있음.)
- 주당 배당금 = 1,500원
- 주당 이익(EPS) = 5,000원
- 자산가치 조정 = 30,000원
- 승수(M) = 8 (반도체 업종 기준으로 보수적 적용)
📌 공식 적용
✔ 결론
그레이엄의 공식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적정 가치는 약 47,333원으로 계산됨.
현재 삼성전자의 주가가 만약 70,000원이라면? 과대평가된 상태일 수도 있음.
반대로 40,000원이라면? 어느 정도 저평가되어 있다고 볼 수도 있음.
6. 마무리: 이 공식을 사용할 때 주의할 점
- 이 공식은 보수적인 접근법이므로, 성장주나 기술주에는 적절하지 않을 수 있음.
- M(승수) 값은 기업마다 다르고, 업종 특성에 따라 적절한 값을 설정해야 함.
- 자산가치 조정 값은 회계상 장부가치(BV)를 기반으로 하지만, 현실에서는 시장가치와 차이가 날 수 있음.
- 그래서 안전마진(Margin of Safety)을 적용해 실제 매수 가격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