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주식공부

벤저민 그레이엄의 보통주 평가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2(자본환원율에 대해서)

Saltycrocodile 2025. 2. 8. 18:41

 

 

1. 자본 환원율(승수, M)의 의미

그레이엄이 말한 "승수(M)"는 배당금과 이익을 몇 배로 평가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요소야.
쉽게 말하면, "기업의 미래 수익을 현재 가치로 얼마나 환산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할인율의 역수라고 볼 수 있어.

자본 환원율(승수, M)과 할인율의 관계

 

 

  • 승수(M)는 할인율의 역수라고 생각하면 돼.
  • 할인율을 r이라고 하면, 대략적으로 M ≈ 1/r로 표현할 수 있어.
  • 예를 들어 할인율이 10%(0.10) 라면

  • 할인율이 12.5%(0.125) 라면

  • 할인율이 5%(0.05) 라면

 

 

 

즉, 할인율이 높으면 승수(M)는 낮아지고, 할인율이 낮으면 승수(M)는 높아져.

결론:
승수(M)가 크다는 것은, 미래 수익을 높게 평가한다는 의미고,
승수(M)가 작다는 것은, 미래 수익을 보수적으로 평가한다는 의미가 된다.

 

 

 

2. 자본 환원율(승수, M)과 금리의 관계

금리와 승수(M)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기본 원리:

  • 금리가 높아지면 할인율(r)이 높아짐 → 승수(M)가 낮아짐
  • 금리가 낮아지면 할인율(r)이 낮아짐 → 승수(M)가 높아짐

예를 들어,


📌 금리가 5%일 때

  • 할인율이 약 7~8%로 결정된다고 가정하면

  • 금리가 10%로 상승하면 할인율이 12~13%로 올라가면서

 

즉, 금리가 높아지면 미래의 돈을 덜 가치 있게 평가하므로 승수(M)가 줄어든다는 것이다.

 

그래서 성장주(기술주)들이 금리에 민감한 이유

  • 성장주는 미래의 높은 이익을 기대하는 기업이야.
  • 그런데 금리가 오르면 할인율이 높아지면서 미래 수익의 현재 가치가 줄어듦.
  • 결국, 성장주들은 금리가 오를 때 주가가 하락하는 경향이 생기는 거야.

 

3. 실제로 승수(M)는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승수(M)는 업종별로 다르고, 기업의 위험도에 따라 다르게 적용돼.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찾을 수 있어.

 

1) 업종별 P/E(주가수익비율)를 참고

  • 승수(M)는 P/E 비율(Price-to-Earnings Ratio)과 비슷한 개념이야.
  • 예를 들어, IT 기업들의 평균 P/E가 20이라면, 그 업종의 평균 M값도 20에 가까울 가능성이 높아.
  • 반면, 은행이나 유틸리티(전기, 가스) 기업처럼 안정적인 업종은 P/E가 8~10 정도로 낮으므로 M값도 낮게 잡는 게 일반적이야.

 

P/E 비율을 금융 사이트에서 찾는 방법

  • Yahoo Finance, Bloomberg, Investing.com 등에서 기업별 P/E 확인 가능
  • 업종별 평균 P/E 데이터 참고

2) 과거 데이터 분석

  • 한 기업의 과거 P/E 비율의 평균값을 찾아서 적용
  • 예를 들어 삼성전자의 평균 P/E가 15였다면, M도 12~15 정도로 설정

3) 할인율을 직접 계산해서 M 추정

  • 할인율 = 무위험 이자율(국채금리) + 리스크 프리미엄
  • 예를 들어
    • 한국 국채 10년물 금리가 4%
    • 삼성전자의 리스크 프리미엄을 6%로 본다면
    • 할인율 10% → M = 10

 

4. 정리

자본 환원율(승수, M)의 핵심 개념

  1. M은 미래 이익을 현재 가치로 환산하는 배율
  2. 할인율(r)의 역수 (M ≈ 1/r)
  3. 금리가 오르면 할인율 증가 → M 감소 → 주식 가치 하락
  4. 업종별 평균 P/E와 비슷한 개념
  5. 무위험 금리(국채금리) + 리스크 프리미엄을 통해 할인율을 정하고, 이를 역수로 변환해 M 추정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