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내용과 이어서 이자보상비율 기준에 더해서 일반적으로 채권과 우선주의 안전성 분석에 적용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기업의 규모: 기업에 대해서는 (제조회사, 공익기업, 철도회사에 따라 달라지는) 최소 매출 기준이 있고, 지방 자치단체에 대해서는 최소 인구 기준이 있다.
2. 시가총액/총부채 비율: 주식의 시가총액을 '부채 + 우선주의 액면가'로 나눈 비율이다. 주식은 후순위 투자여서 손실을 먼저 떠안게 되므로, 이 비율이 클수록 채권과 우선주는 더 안전해진다. 이 비율은 이 기업의 전망에 대한 시장의 평가이기도 하다.
3. 부동산 가치: 과거에는 채권의 안전성을 평가할 때 대차대조표에 표시되는 자산가치를 가장 중시했다. 그러나 경험을 돌아보면 안전성은 주로 수익력에 좌우되므로, 수익력이 부족하면 자산은 가치 대부분을 상실한다. 그러나 공익기업(요금이 주로 부동산 투자에 좌우되므로), 부동산투자, 투자회사는 자산가치가 안전성 평가 기준으로 여전히 중요하다.
여기서 예리한 투자자라면 다음 질문을 던져야 한다. "원리금 지급은 기업의 미래 실적에 달렸는데, 과거 및 현재 실적으로 평가한 안전성 기준을 과연 얼마나 믿을 수 있나요?" 이 질문에 답하려면 과거 경험을 돌아볼 수밖에 없다. 투자의 역사를 보면, 과거 실적으로 산출한 엄격한 안전성 기준을 충족한 채권 및 우선주 대다수는 이후 시장이 급변할 때에도 아무 문제가 없었다. 그동안 부도와 심각한 손실이 자주 발생한 철도 채권 분야에서 이런 현상이 뚜렷히 나타났다. 곤경에 처한 철도회사들은 거의 모두 오래전부터 부채가 과도해서 호황기에도 최소 이자보상비율을 충족하지 못했으므로, 엄격한 안전성 기준을 적용하는 사람들의 투자 대상에서 제외되었을 것이다.
1950년 이후에는 제조회사 채권의 채무 불이행 사례가 거의 없었다. 그러나 이는 오랜 기간 심각할 불황이 없었던 덕분이었다. 1966년 이후에는 재무상태가 악화하는 제조회사들이 많아졌다. 무리한 사업 확장 탓에 자금난에 시달리는 기업이 많았다. 한편으로는 은행 대출금과 장기채권 발행이 대폭 증가하고, 한편으로는 영업 손실이 빈발했다.
1971년 초 계산에 의하면, 모든 제조회사가 지난 7년 동안 지급한 이자 합계액이 1963년 98억 달러에서 1970년에는 261억 달러로 증가했다. 그리고 지급 이자가 세전 이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63년 16%에서 1970년 29%로 증가했다. 부채가 과중한 기업들이 너무 흔해졌다. 1965년 개정판에 썼던 경고가 다시 필요해졌다. 이렇게 유리한 상황이 무한정 이어질 것이라고 함부로 믿으면서 채권 선정 기준을 완화해서는 안 된다.
지금까지는 채권과 우선주 안전성 분석 기준에 대해서 간략히 알아보았다 다음 편부터는 주식에 대한 분석 방식을 알아볼 것이다.
'주식 >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유동자산가치(NCAV)란? (0) | 2025.03.16 |
---|---|
장부가치(Book Value)와 실제 가치는 다를 수 있다.(feat. PBR, Debt-to-Equity ratio) (0) | 2025.03.09 |
현명한 투자자 내용정리 11장 이자보상비율과 적정자본화계수 (0) | 2025.03.09 |
순자산가치와 자본, 그리고 PBR(주당순자산가치) (0) | 2025.03.08 |
벤저민 그레이엄의 보통주 평가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2(자본환원율에 대해서) (1) | 2025.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