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ssertion by Josh Sharp on X.com
최근 계속 듣는 이야기는 AST가 전 세계 수억 명에게 약 25Mb/s 속도로 휴대폰에 직접 연결되는 광대역 인터넷을 제공할 것이라는 거야. 그것도 200개 미만의 위성으로. 그리고 내가 질문이나 의심이 있다면, thekookreport(x.com의 ASTS관련 트위터를 주로 발간하는 ASTS관련 명망있는 트위터) 보고서를 읽으라고들 해. thekookreport의 글에서는 모바일 트래픽이 일반적으로 5%에서 20%의 고객이 동시에 사용할 때 피크에 도달한다고 말해. 이 추정을 사용해서 AST가 10Ghz의 총 처리 용량을 가진 차세대 Block 2 위성을 발사하겠다고 한 성능을 예측해. 그들은 최대 대역폭으로 40개의 빔과 빔당 5,000명의 사용자가 있을 때, 5%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경우, 각 사용자는 피크 사용 시 3Mb/s를 사용할 것이라고 추정해 (모두가 주장하는 25Mb/s보다 훨씬 낮지). 그래서 5%의 동시 사용자를 기준으로 하면, AST는 각 위성으로 200,000명의 고객에게 3Mb/s의 인터넷을 제공할 수 있을 거야. 하지만 고객당 피크 데이터를 계산하려고 한다면, 왜 동시 사용자의 가장 낮은 범위를 사용하겠어? 중간 값인 12.5%를 사용하고 동시 사용자가 12.5%라고 하면, 한 위성은 이제 200,000명의 고객에게 1.2Mb/s의 인터넷만 제공할 수 있어. 그리고 진정한 피크 데이터를 기준으로 20%의 고객이 동시에 사용할 때는, 한 위성은 200,000명의 고객에게 단 0.75Mb/s의 인터넷만 제공할 수 있어. 그래서 회사가 주장하는 것처럼 25Mb/s 인터넷을 고객에게 제공하려면, 5%의 동시 사용자를 기준으로 할 때, 한 위성은 24,096명의 고객에게 인터넷을 제공할 수 있어. 동시 사용자가 12.5%일 때는 한 위성이 9,601명의 고객에게 인터넷을 제공할 수 있어. 그리고 동시 사용자가 20%일 때는 한 위성이 6,006명의 고객에게 인터넷을 제공할 수 있어. 그래서 200개의 위성을 기준으로 보면, AST는 1.2백만에서 4.8백만 명의 고객에게 25Mb/s 인터넷을 제공할 수 있어. 즉, 1,200만에서 4,800만 명의 고객에게 서비스를 확장하려면 2,000개의 위성이 필요해. 그렇지 않으면 대역폭이 저하되어 통화와 문자 외에는 쓸모가 없어질 위험이 있어.
AST가 대역폭을 5-10Mb/s 이하로 낮춘다면, 그들의 기술에 대한 진입장벽이 사라지고 경쟁자와 다를 바가 없게 돼. AST가 정말로 제품을 확장하고 대역폭 저하를 방지하려면 2,000개의 위성을 발사해야 하는데, 이 건설에는 거의 10년이 걸릴 거야. 한 달에 20개의 위성을 발사하더라도 8.3년이 걸릴 거야. AST가 제품 확장에 10년이 걸린다면, 그동안 경쟁자가 더 발전하고 시장 점유율을 빼앗을 시간이 많아져. 결론적으로, 나는 AST가 좋은 기술을 가지고 있고 성공적인 사업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그들이 제품을 수천만 명의 사용자에게 확장할 현실적인 경로는 보이지 않아. 그래서 나는 그들이 향후 10년 내에 80억 달러의 가치 평가를 정당화할 만큼 성장할 수 있을 거라고 보지 않아.
2. Repute
1)만약 용량이 우리의 가장 큰 문제라면, 나는 엄청나게 부자가 될 거야. 또한, 다중 빔, MIMO, 그리고 Cohere 기술에 대한 추측을 고려하면, 이 숫자를 증가시킬 몇 가지 트릭이 있다고 생각해. 하지만 음성 통화는 충분히 지원할 거야. 참고로 HD 유튜브는 5-8Mb/s가 필요해.
2) Silliconmemes: 당신은 사용자가 25Mb/s를 받지 않으면 서비스가 무가치하다고 가정하는데, 음성 통화는 80kb/s야. 아직 비상 상황이 아닌 일반 휴대폰으로 위성 음성 통화를 하는 사람은 없지만, $ASTS를 통해 데이터도 판매할 수 있을 거야. 여기에 내 계산을 적어볼게.
내가 $ASTS를 생각하는 방식은 이래, 기술이 제대로 작동한다면 말이야. 음성 통화 커버리지는 아직까지는 경쟁 우위를 유지하고 있어. 90개의 위성으로 전 세계 커버리지 확보. 음성 통화당 80kbps. 1개의 위성은 30Gb/s (10GHz * 3비트/헤르츠). 이 대역폭은 위성당 375,000개의 동시 음성 통화를 지원할 수 있어.
피크 동시 사용률 20%를 가정하지만, 위성이 목표 시장 위에 머무는 시간은 20%뿐이야 = 90개의 위성으로 3,375만 명의 음성 통화 고객을 지원할 수 있어. 고객당 $2/월을 $ASTS가 받으면 연간 최대 $8억 1천만의 수익. $5/월이면 연간 최대 $20억의 수익. 다음은 데이터야.
위성당 30Gb/s의 대역폭은 한 달에 약 7,780만 Gb, 즉 약 1,000만 GB를 의미해. 데이터를 GB 단위로 판매한다고 가정하고, 고객당 한 달에 2GB를 사용한다고 할 때, 평균 사용률이 20%이고 위성이 목표 시장 위에 20%의 시간을 머무른다면, 위성당 최대 195,000명의 고객이 한 달에 2GB를 사용할 수 있어.
200개의 위성 중 90개는 음성 통화용이고, 나머지 110개는 데이터용 대역폭을 제공할 수 있어 = 최대 2,150만 명의 고객. $ASTS에 고객당 $5/월을 지불하면, 월 $1억 7천만, 연간 약 $13억의 수익이 발생해. 음성과 데이터를 결합하면, 각각 고객당 $5/월로, 200개의 위성이 연간 $33억의 여유를 제공할 수 있어.
위성이 발사된 후 $ASTS에 추가 비용이 거의 없으니, 마진이 엄청날 거야. 내 생각에 이 가격은 $ASTS가 이미 상품이 되었을 때의 가격에 가깝다고 봐. 만약 그게 희소하다면, 그들이 받을 수 있는 금액을 월별로 입력하고 업데이트해 보라고 해. 예를 들어, $30/월이라면 연간 약 $200억의 수익이 될 거야.
정부, 군사, 응급 구조 계약은 그 위에 추가로 이익이 되고, 그게 먼저 올 것 같아. 새로운 기술과 더 많은 위성이 수익을 증가시키겠지만, 그때쯤이면 이미 상품이 되어 있을 거야. 그래도 여전히 아주 멋진 성장 비즈니스야. 기술이 제대로 작동한다면 말이지.
▷repute by original author 'Josh Sharp'
나는 이것이 피크 수요에 대한 이야기라고 말하는 거야
▶ 피크 수요 시 많은 이동통신 서비스가 잘 작동하지 않지만, 이동통신 서비스는 최선의 노력이야. 하루에 1시간 느리더라도 가치가 없다는 의미는 아니야. 만약 그들이 항상 그렇게 과부하 상태라면, 내 수치를 보면 연간 수십억 달러를 벌고 있을 거고, 가격을 인상할 수 있겠지
▷ repute by original author 'Josh Sharp'
하지만 thekookreport(x.com의 ASTS관련 트위터를 주로 발간하는 ASTS관련 명망있는 트위터)가 말하는 것처럼 5%의 동시 사용자가 서비스 속도를 3Mb/s로 저하시킨다면, 그들의 제품은 경영진이 말해온 것처럼 훨씬 좋지 않을 거야. 그렇게 되면 더 많은 경쟁자가 시장 점유율을 빼앗을 수 있는 여지를 남기게 돼.
▶ 각 고객이 데이터로 한 달에 2GB만 구매한다면(예를 들어), 그때 최대 데이터 속도를 사용하는 동시 사용자 비율은 5%가 아닐 거야. 그런 수치라면 위성들은 목표 시장 위에서 평균 약 20%의 용량을 사용하면서 약 2천만 고객을 지원할 수 있을 거야, 대략 100개의 위성을 통해서 말이야. 만약 고객이 하루에 몇 시간 동안 데이터를 사용하고 싶다면 스타링크를 구매하거나, 월 수백 달러를 지불해야 할 거야.
※목표시장: 위성들의 목표 시장은 주로 이동통신이 부족한 지역이나 인터넷 서비스가 원활하지 않은 지역을 의미함. 이러한 지역에서 사용자들이 데이터, 음성 통화, 문자 서비스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위성이 제공하는 서비스가 큰 가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산업용 IoT 응용 프로그램이나 긴급 통신 서비스와 같은 특정 사용 사례에도 해당할 수 있다
▶ added comment to this paragraph 좋은 지적이야, 하지만 최대 활용도가 수익을 제한하지 않는 체육관과도 같지 않아? 이 분야는 사람들이 사용량이 아니라 접근권을 위해 비용을 지불하는 곳이니까
▶ another added comment to this paragraph 전 세계적으로 2천만 명의 구독자에 어떻게 도달할 수 있는 거야? 사람들이 왜 1년에 12개월 동안 이 서비스를 위해 비용을 지불할까? 선진 시장에서는 그렇지 않을 것이고, 개발도상국에서는 경쟁사인 LTE가 가격이 매우 저렴하고 핸드셋 문제가 있어. 위성 광대역은 가격 결정력이 없어. 독특한 판매 제안(USP)이 없어.
▷ repute to this added comment
내 분석은 그들이 제공할 수 있는 용량을 기반으로 했고, 선진 시장에서 저렴한 추가 서비스로서의 가능성을 고려했어. 수요가 없다면 200개의 위성을 발사할 필요는 없겠지만, 그들은 여전히 $1/월로 수익을 올릴 수 있어. 개발도상국에서는 $5/월로 주요 서비스로 판매할 수 있지. 나는 개인적으로 하이킹이나 러닝을 할 때, 몇 주에 여러 번 신호가 없는 곳에서 음성 통화, 문자, 3G 데이터를 위해 추가로 $10/월을 기꺼이 지불할 거야. 빈번한 사용자들은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할 테고. 선진국에서도 여전히 신뢰할 수 있는 신호가 없는 사람들이 많아. 마지막으로, 스타링크는 가격 결정력이 없다고 생각하는 서비스 치고는 꽤 성공적이야 😆 $ASTS의 차이점은 스타링크처럼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성 통화와 문자도 할 수 있고, 단지 전화기만 있으면 된다는 거야. 이는 수백 달러의 가치가 있는 서비스로, 수백만 명에게 필요해.
▶added comment to this repute
“수백만 명”이라는 표현이 여기에 많은 과중한 부담을 주고 있어. 사람들은 1-2주 동안 추가 서비스로 비용을 지불할 수 있지만, 12개월 계약으로는 아닐 거야. 심지어 $5/월은 미국에서 스마트폰 평균 수익(ARPU)에 10%의 증가를 의미해… 일반적으로 가격이 비싼 시장이거든. 유럽에서는 이 $5가 ARPU의 20%가 될 거야
※ ARPU는 "Average Revenue Per User"의 약자로, 평균 사용자당 수익을 의미함. 이 지표는 기업이 특정 기간 동안 사용자당 평균적으로 얼마나 많은 수익을 올리는지를 나타내며, 주로 통신사나 서비스 제공업체의 재무 성과를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