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05 현명한 투자자 내용정리 11장 이자보상비율과 적정자본화계수(2) 이전 내용과 이어서 이자보상비율 기준에 더해서 일반적으로 채권과 우선주의 안전성 분석에 적용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기업의 규모: 기업에 대해서는 (제조회사, 공익기업, 철도회사에 따라 달라지는) 최소 매출 기준이 있고, 지방 자치단체에 대해서는 최소 인구 기준이 있다. 2. 시가총액/총부채 비율: 주식의 시가총액을 '부채 + 우선주의 액면가'로 나눈 비율이다. 주식은 후순위 투자여서 손실을 먼저 떠안게 되므로, 이 비율이 클수록 채권과 우선주는 더 안전해진다. 이 비율은 이 기업의 전망에 대한 시장의 평가이기도 하다. 3. 부동산 가치: 과거에는 채권의 안전성을 평가할 때 대차대조표에 표시되는 자산가치를 가장 중시했다. 그러나 경험을 돌아보면 안전성은 주로 수익력에 좌우되므로, 수익력이 부.. 2025. 3. 9. 현명한 투자자 내용정리 11장 이자보상비율과 적정자본화계수 증권분석과 안전성 기준 적용 애널리스트는 특정 증권의 과거, 현재, 미래를 다룬다. 또한 사업을 설명하고 영업 실적과 재무 상태를 요약하며; 증권의 강약점, 미래의 잠재 수익 및 위험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고 다양한 가정을 세워 미래 수익력을 추정한다. 다양한 기업을 정교하게 분석하기도 하고, 한 기업을 다양한 시점에서 비교분석하기도 한다. 끝으로 채권이나 우선주에 대해서는 안전성을 평가하고, 주식에 대해서는 투자 매력도를 평가한다. 이 과정에서 애널리스트는 초보 수준에서 난해한 수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석 기법을 사용한다. 공인회계사가 승인한 재무제표에서도 숫자들을 대폭 수정할 수 있다. 특히 그는 다르게 해석될 수 있는 재무제표 항목에 유의한다. 특히 애널리스트는 채권이나 우선주에 안전성 기준을 적.. 2025. 3. 9. 순자산가치와 자본, 그리고 PBR(주당순자산가치) 📌 1️⃣ 순자산가치(NAV)와 회계항등식 📌 순자산과 자산의 차이 핵심 정리자산(Assets) = 기업이 보유한 모든 것현금, 부동산, 기계, 재고, 채권, 특허 등 모든 유형/무형 자산 포함순자산(Net Assets, Equity) = 자산에서 부채를 뺀 것쉽게 말해, 기업이 가진 자산에서 빚(부채)을 모두 갚고 남는 순수한 가치순자산 = 자본(Equity) 과 개념적으로 동일 회계항등식에 따르면: 자산(Assets)=부채(Liabilities)+자본(Equity) 이다. 이 식을 변형하면: 순자산= 자산−부채 = 자본 즉,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금액"은 자본과 같으므로 그래서 순자산가치는 기본적으로 "자본"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 2️⃣ 그럼 순자산가치(NAV)와 자본(Eq.. 2025. 3. 8. 부동소수점 오류 간단한 예시 sin(θ)^2+cos(θ)^2=1 수학적으로는 항상이 성립함을 알고 있다. 이런 수식을 검증하도록 하는 파이썬 코드를 만들어보자 import sysimport stdioimport mathx = int(sys.argv[1])y = (math.cos(x))**2+(math.sin(x))**2stdio.writeln(y) 그리고 y를 입력해서 답을 확인해보자 여기에 나오는 것과 같이 어떤 경우에는 1.0으로 잘 변환하다가 어떤 경우에는 0.9999999999999999 처럼 이상한 답을 내놓는다. 이는 부동소수점 오류 때문이다. 부동소수점 오차 때문에 일부 경우에는 0.9999999999999999처럼 1보다 아주 약간 작은 값이 나올 수 있는 것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1.y = round((math.cos(x))**2.. 2025. 3. 4. 이전 1 2 3 4 5 6 ··· 27 다음